14.9 C
Los Angeles
18.4 C
New York
Wednesday, May 8, 2024

환자 차트를 위한 SOAP노트 작성하는 법Ⅰ

△ 환자 차트를 잘 쓰기 위해서는 SOAP노트 작성이 중요하다. 사진©AdobeStock_ pandpstock001

 

SOAP=Subjectiveᆞ Objectiveᆞ AssessmentᆞPlan

각 항목에 따라 작성하면 끝!

 

최근 보험 빌링을 하는 한의사들이 늘어나면서 환자 차트 쓰는 법에 대해 본지로 문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차트 및 메디컬 리포트를 쓰는 기본은 SOAP노트 작성이다. 이에 본지는 창간 4주년을 맞아 더 많은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SOAP 노트 작성방법에 대해 2회에 거쳐 간략히 요약해 소개하고자 한다. <편집자주>

 

▲ SOAP 노트란?

환자 관리를 위해 필요한 영어 단어들의 머리글자를 따서 붙인 것이다.

‘SOAP’의 ‘S’는 ‘Subjective’의 첫 글자로, 한의사가 환자를 진료할 때에 주관적으로 진단되는 모든 사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환자의 이름이나 나이, 생활양식 등 첫 내원 시 문진 하는 대부분의 내용이라고 보면 된다.  

‘O’는 ‘Objective’의 첫 글자로 환자 진단 시에 필요한 모든 객관적 내용이다. 각종 이학적 검사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알아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A’는 ‘Assessment’의 머리글자로 일종의 평가 단계라고 보면 된다.  먼저 진행했던 S와 O의 관계를 통해 환자의 병증이 어떤 상태인지에 대해 진단하고 치료를 위한 장단기 목표를 세우는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P’는 ‘Plan’의 첫 글자로, 치료 계획 작성에 포함되는 모든 정보가 포함된다. 기록의 단순화와 명확성을 위해서 문장을 짧게 단순화하며 그것을 위해 약어의 이용, 의학용어의 사용, 구두점, 기호 등을 적절히 사용한다.

 

주관적 단계(S)

미국에서 환자의 개인 임상기록 차트에는 모든 의료 전문가들이 기록할 수 있는 여백이 마련되어 있다. 때문에 의료인들은 해당 기록을 보고 환자의 과거 수술이나 질환, 현재의 상태나 질환, 각종 검사를 통한 결과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환자가 외래 환자일 경우에는 의뢰서에 진단명, 환자의 주된 병증의 호소, 기능상태 등에 대해 알아보게 된다.

이 과정에서는 환자의 현재 상태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가능한 자세하게 확인해야만 병증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보통 환자의 이름, 나이, 성별 등과 함께 환자의 과거 및 현재 병력, 생활양식이나 가정상황, 환자 자신의 심적 상태 또는 태도, 해당 병증에 대한 호소, 재원 환자인 경우엔 과거 치료에 대한 반응, 자신의 입장 또는 현 상태 등이 포함된다.

 

▲객관적 단계(O)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각종 이학적 검사 및 객관적 관찰을 기록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관절가동 범위, 근력상태, 감각상태, 이동, 보행 검사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세(Positioning):  앉았을 때의 균형(sitting balance) – 정적(static)인가 동적(dynamic)인가. 머리(Head)와 몸통(Trunk), 골반(pelvis)의 상태, 이동(Transfer to pt)-어떻게 치료실에 오는지 확인. 지구력(Endurance)-주로 활동(activity) 지속시간

▷상지상태(Upper Extremity status): ROM-passive/active 구분, MMT-근력등급별, 탈구(subluxation), 부종(edema), 통증(pain), 회복단계(Brunnstrom recovery stage)-arm/ hand, 뻗기(reach), 잡다(grip)/놓다(release), 대립(opposition)-어느 손가락까지 가능한가.

▷감각(sensation)-감각 없음(absent)/ 손상(impaired)/ 정상(intact), 자세감각(position sense), 입체 인지 지각(stereo gnosis)

▷인지요소(Cognitive components): 지능상태(M/S, mental stage), 지능기능(M/S, mental function), 자신의 병에 대해 알고 있는 지에 대한 통찰력(Insight), 주의력(Attention), 환자가 자신의 신체부위에 대해 알고 있는지에 대한 신체도식(Body scheme), MMSE – 30점 중 몇 점인지.

▷시직각(Visual Perception): 눈으로 보는 작업 20분 이상 지속가능한지 알아보는 visual attention(20s), 추적(ocular pursuit), 눈의 구조(Visual Construction)-neglect등의 유무 등, MVPT

▷협응력(Coordination):  휴식 시(resting)/계획적인 떨림(intentional tremor), Box & Block test – 1분 기준

▷ 입운동의 기능(Oro-motor function): 구토반사(gag reflex), 입술 닫기/다물기(lip closing), 침흘리기(drooling), 혀 운동(tongue movement), 삼키기(swallowing), 씹기(chewing)

▷가장 보편적(ADL – FIM)

진희정 기자

 

 

<Copyrights ⓒ 메디컬 한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dvertisement -

More articles

- Advertisement -spot_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