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 C
Los Angeles
-9.2 C
New York
Monday, December 23, 2024

윤동원 원장의 『사암도인침구요결』 해석 ⑤ 정임목/ 심∙방광

사진(c)Dollarphotoclub_vkph

심장과 방광의 배합 ‘정임목(丁壬木)’, 실제 나무 아닌 ‘목상(木像)’ 

중풍 환자, 사암침법의 심 정·승·한·열격/ 방광 정·승·한·열격 사용

정임목/ 심∙방광은 오수혈의 형혈에 해당한다. 심과 방광이 상합관계로 아울러 심포가 심의 상화이기 때문에 동시에 설명이 가능하다.

방광은 주 기능이 근(膀胱主筋)이고 심포는 주 기능이 맥(心包主脈)이다. 아울러 심과 방광을 따로 분리해 생각하면 안 된다. 이는 방광과 심이 상합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방광은 폐와 상통한다. 이 같은 이유에서 심, 방광, 폐, 심포 등 4개 장기를 각각의 장부로 분리해 생각하지 말고 서로 동시에 생각해야만 한다.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확대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메인 그래픽

▲ 관련 질환

심과 관련해 한의원에서 주로 보는 증상은 심혈관 질환, 정신과적 질환, 노년기의 전립선비대증, 요실금 등 소변관계 등과 관련 있다. 만성질환의 마지막 단계라 할 수 있는 뇌신경 증상인 중풍까지 거론할 수 있다. 각종 만성질환으로 시달린 신체가 결국 마지막에 이르러서는 뇌 신경이 손상돼 여러 증상이 나타난다고 생각하면 된다.

 

▲ 심장과 방광관계

이 두 관계는 방광주근의 의미를 깊게 되새겨야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방광경이 신체의 뒷부분을 광범위하게 흐르고 있기 때문에 주로 방광경락의 유주만 생각한다. 임상에서 보면 대부분의 근육통은 방광경을 따라 발생해서 방광경을 치료하지만 방광경이 유주하는 곳 이외의 근문제에 있어 방광과 근의 관계를 많이 생각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잊지 말아야 할 부분은 방광경 경락의 흐름 외에도 인체의 각 부분의 근의 활동이 방광기능에 영역에 벋어날 수 없다고 이해하는 것이 좋다.

 

▲ 심 정·승·한·열격

 『사암도인침구요결』에서 사암도인이 심 정·승·한·열격을 사용한 내역을 보면 모두 27개다. 『사암도인침구요결』에 보면 현대인의 생활습관과의 차이로 중풍 및 소변관계, 제반 근육통증과 관련한 임상은 없었다. 중풍은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당시 사암도인이 활동하던 시기에는 정신적인 울증, 소화기, 한사(寒邪)가 대부분이다.

심 정·승·한·열격은 일반적으로 소양증, 혈압이상, 콜레스테롤 조절, 소변관계, 중풍관련 증상, 스트레스, 우울증 등 정신과적 문제 및 만성질환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사암도인침구요결』을 보면 심정·승·한·열격은 크게 △반신불수 △정신적문제(스트레스) △담음 △소화기 등 증상에 사용됐다.

 

▲ 정임목의 이해

오수혈 이론상 심장과 방광의 배합인 정임목(丁壬木)은 실제 나무가 아닌 목상(木像)의 의미다. 정임목의 목은 유주상 담의 기능과 같다. 목상은 사람이 정위치에 서 있는 것, 자세가 바른 것, 전진하는 것 등 양목(陽木) 즉 담(膽)에 대한 철학적 개념이 있다.

다시 말해 중풍환자의 반신불수 상태는 양목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진 상황이라 이해하면 오수혈의 형혈(滎穴)의 의미와 심, 방광의 상합관계 즉 정임목까지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제 심정·승·한·열격과 방광정·승·한·열격으로 반신불수 중풍환자 치료에 접근할 수 있다는 이론적 근본이 생긴 것이다.

중풍환자의 주 증상은 대부분 수의근 조절이 불가하고 근(筋)이 정상위치에서 벗어나있고, 말이 어눌하고 정신이 혼미한 것 등이다. 이 같은 증상에 사암침법의 심 정·승·한·열격과 방광정·승·한·열격을 사용, 치료가 가능하다는 말이다.

 

▲ 심과 방광 활용

임상시 환자를 편안한 자세로 눕게 하고 신체를 보면 적지 않은 경우 양측 다리의 길이가 같지 않음을 발견한다. 왼쪽의 다리가 오른쪽 다리보다 짧고 이 차이가 8분의1인치(0.3cm) 이상 차이가 난다면 해당 환자는 심장의 문제로 혈압약이나 콜레스테롤 약을 먹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봐도 무난하다.

동시에 이같은 환자는 방광경상의 승근, 승산혈 부위 근이 뭉쳐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심장과 방광의 상합관계 및 방광이 주근(主筋)활동을 한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예다. 또한 이는 우기좌혈(右氣左血)의 개념으로 봤을 때 심장의 기능이 떨어져 해당 위치의 방광의 주근활동이 위축, 해당 근이 물리적으로 긴장돼 근육의 물리적 길이가 단축됐다고 풀이할 수 있다. 

만일 환자의 좌우측 다리의 길이를 봤을 때, 우측 다리의 길이가 좌측보다 짧을 경우, 폐와 방광의 상통관계에 이상이 있을 수 있다.

다리의 길이가 다른 환자의 치료는 좌측다리가 짧은 경우, 심 정·한·승·열격을 우측이 짧은 경우, 폐 정·한·승·열격을 각각 활용하면 다리의 길이가 정상으로 되돌아옴을 볼 수 있다.

이런 개념에서 접근하면 하지뿐 아니라 인체 상부인 어깨부분도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고 다리길이 교정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치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깨 높이 차로 고개가 삐뚤어지든지, 좌우측 천정혈 통증에 적용할 수 있다. 왼쪽 다리가 짧으면서 왼쪽 어깨부위에 이상이 있는 경우, 심 정·승·한·열격과 방광까지 생각하면 쉽게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상하지의 균형을 잡은 치료에 천응혈(天應血)을 더하면 더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사암침법의 치료는 일단 장부의 잡아 근의 문제를 잡아주는 것이기 때문에 먼저 사암침으로 장부 균형을 잡아 신체 균형까지 잡아주고 통증부위에 천응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윤동원 원장(가야한의원)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확대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서브 그래픽2

 

<Copyrights ⓒ 메디컬 한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dvertisement -

More articles

- Advertisement -spot_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