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 C
Los Angeles
10.2 C
New York
Thursday, November 21, 2024

김한직 교수의 361혈 궁리 (22) 독맥의 경혈 의미와 임상 응용Ⅰ

手足三陽經서 갈라진 가지, 모든 독맥과 닿아 인체 양기 조절하는 ‘陽脈之海’

척추 강직∙하복부에서 심장으로 틀어 오르는 통증∙대소변 치질, 갈증 치료

 

독맥은 양맥지해(陽脈之海)이며 기경팔맥고에선 회음(會陰)과 회양(會陽)을 포함해 ‘31혈(穴)’이라 하였다. 이빈호(李瀕湖)는 “임(任), 독이맥(督二脈), 인신지자오야(人身之子午也). 내단가양화음부승강지도(乃丹家陽火陰符升降之道), 감수(坎水), 리화교구지향(離火交媾之鄉)”라 했다.

 

▶ Du 1 장강(長强): 별명은 하극지유(下極之俞), 기지음극(氣之陰郄). 『천금요방』에서 대소변난(大小便難), 임륭(淋癃)에 소장수와, 『침구대성』에서 만성치질에 이백, 승산과, 탈항치질에 이백, 백회, 지실과, 소아탈항에 백회, 대장수와, 『백증부』에서 장풍변혈에 승산과, 『옥룡가』에서 구반치루(九般痔瘺)에 승산과 배혈.

 

▶ Du 2 요유(腰兪): 『천금요방』에서 하지마비에 풍부와, 『침구자생경』에서 학질에 대추와, 『침구대성』에서 요척강통에 위중, 용천, 소장수, 방광수와, 요배강직(腰背强直), 불능전측(不能轉側)에 폐수와 배혈.

 

▶ Du 3 요양관(腰陽關): 『천금요방』에서 근련슬불득굴신(筋攣膝不得屈伸), 불가이행(不可以行)에 양구, 곡천과 배혈.

 

▶ Du 4 명문(命門): 『침구자생경』에서 신열여화(身熱如火), 두통여파(頭痛如破)에 중충과, 『침구집성』에서 노인요통에 신수와, 『옥룡부』에서 노자변다(老者便多)에 신수와, 『유경도익』에서 양불기(陽不起)에 신수, 기해, 연곡과 배혈.

 

▶ Du 5 현추(懸樞): 『침구자생경』에서 완곡불화에 족삼리, 대장수, 삼음교, 하완, 삼초수, 양문과 배혈.

 

▶ Du 6 척중(脊中): 별명은 신종(神宗). 『침구자생경』에서 풍간(風癇)에 용천과 배혈. 고전(古典)에서 복만불능식(腹滿不能食), 황달(黃疸), 온병적취하리(溫病積聚下利), 구냉오치(久冷五痔), 요척강불득부앙(腰脊強不得俯仰), 풍간전사(風癎癲邪)에 사용.

 

▶ Du 7 중추(中樞): 중정지관(中正之官)을 주관. 요척통에 명문, 요안, 양릉천, 후계와 배혈.

 

▶ Du 8 근축(筋縮): 『백증부』에서 척추강직에 수도와 배혈.

 

▶ Du 9 지양(至陽): 『소문 32장 자열편(刺熱篇)』의 “열병(熱病) 기혈(氣穴), 삼추하간(三椎下間)(신주), 주흉중열(主胸中熱), 사추하간(四椎下間), 주격중열(主鬲中熱), 오추하간(五椎下間)(신도), 주간열(主肝熱), 육추하간(六椎下間)(영대), 주비열(主脾熱), 칠추하간(七椎下間)(지양), 주신열(主腎熱)”로 유명. 고전(古典)에서 한열해라(寒熱懈懶), 음락경산(淫濼脛酸), 사지중통(四肢重痛), 소기난언(少氣難言), 황달(黃疸), 위통(胃痛), 위중한(胃中寒), 불식(不食), 흉륵지만(胸肋支滿), 흉배통(胸背痛)에 사용.

 

▶ Du 10 영대(靈臺): 영(靈)은 심(心)을 가리킨다. 고전(古典)에서 기천(氣喘), 풍냉구수(風冷久嗽), 정창(疔瘡), 골증노채(骨蒸勞瘵), 학질(瘧疾)에 사용.

 

▶ Du 11 신도(神道): 별명은 장유(藏俞), 충도(沖道). 『천금요방』에서 신열두통(身熱頭痛), 진퇴왕래(進退往來)에 관원과, 견배통에 천유, 결분, 대저, 천돌, 수도, 거골과, 『침구자생경』에서 건망에 유문, 열결, 고황수와, 비수황홀(悲愁恍惚)에 심수, 천정(天井)과, 경계(驚悸)에 유문, 천정(天井), 백회와, 『백증부』에서 풍전상발(風癲常發)에 심수와 배혈.

 

▶ Du 12 신주(身柱): 『천금요방』에서 척강반절(脊强反折), 원(螈; 계종瘈瘲)전질두통(癫疾头痛)에 오처, 위중, 위양, 곤륜과, 『침구자생경』에서 소아경간(小兒驚癇)에 장강과,『 백증부』에서 전질(癲疾)에 본신과 배혈.

 

▶ Du 13 도도(陶道) 침구자생경(鍼灸資生經): 『천금요방』에서 두통에 후계, 천주, 대저, 공최와, 『침구자생경』에서 두풍(頭風), 목명(目瞑), 목통여탈(目痛如脫)에 천주, 곤륜과, 세석한열(洒淅寒熱)에 신당, 풍지와, 『침구대성』에서 오로칠상(五勞七傷)에 신주, 폐수, 고황수와, 침구취영에서 세열시행(歲熱時行)에 폐수와 배혈.

 

▶ Du 14 대추(大椎): 별명이 백로(百勞), 대저(大杼), 상저(上杼). 『침구대성』에서 학질, 열다한소에 후계, 간사, 곡지와, 학질, 한다열소에 후계, 곡지와, 상한대열부퇴(傷寒大熱不退)에 곡지, 현종, 족삼리, 용천, 합곡과, 비한발학(脾寒發瘧)에 간사, 유근과, 『신구경론』에서 자한에 부류, 고황수(구灸)와, 단계심법에서 아문과 배혈.

 

▶ Du 15 아문(啞門): 별명이 설염(舌厭), 설횡(舌橫). 『침구자생경』에서 실음에 공최와, 폭아(暴啞)에 삼양락과, 두중에 통천, 부양과, 『침구대성』에서 설강에 소상, 어제, 이간, 중충, 음곡, 연골과, 『백증부』에서 설완부어(舌緩不語)에 관충과, 의종금감에서 중풍설완(中風舌緩), 폭음부어(暴瘖不語)에 풍부와 배혈.

 

▶ Du 16 풍부(風府): 별명이 설본(舌本). 족태양(足太陽), 양유(陽維)와 교회. 전광십삼혈이며, 천창혈. 『천금요방』에서 후익통(喉嗌痛)에 천창, 노궁과, 광역다언부휴(狂易多言不休)에 곤륜, 속골과, 광주욕자살(狂走慾自殺)에 폐수와, 『침구자생경』에서 실음에 승장과, 『침구대성』에서 비연비뉵에 이간, 영향과, 광주(狂走)에 양곡과, 『옥룡가』에서 두경강통난회고(頭頸强痛難回顧)에 승장과 배혈.

 

▶ Du 17 뇌호(腦戶): 『천금요방』에서 두중통에 통천, 뇌공과, 전광구토에 낙각, 축빈, 양곡, 후정, 강간, 옥침과, 『침구자생경』에서 목황에 담수, 의사, 양강과 배혈.

 

▶ Du 18 강간(强間): 별명(別名)은 대우(大羽). 『천금요방』에서 간발원(癇發螈; 계종瘈瘲),광주불득와(狂走不得臥),심중번(心中煩)에 찬죽, 소해(小海), 후계와, 구벽부능언(口僻不能言)에 승읍, 사백, 거료, 구화료, 상관, 대영, 관료, 풍지, 영향, 인중과, 번심(煩心)에 백회, 승광과, 『백증부』에서 두통난금(頭痛難禁)에 풍륭과 배혈.

김한직 교수(사우스베일로 애너하임)

 

 

<Copyrights ⓒ 메디컬 한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dvertisement -

More articles

- Advertisement -spot_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