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C
Los Angeles
5.6 C
New York
Friday, March 29, 2024

김한직 교수의 361혈 궁리 (21) 족궐음간경

사진(c)Dollarphotoclub_B. Wylezich 

 ‘꿈꾸는 장기’ 간, 노화 방지 및 질병 회복 촉진

Liv 1 대돈~Liv 14 기문까지, 배혈 따라 효과 UP!

 

간자(肝者), 장군지관(將軍之官), 모려출언(謀慮出焉)으로 유명한 간은 환자에게 설명할 때 “꿈 꾸는 장기”라고 하면 좋다. 한 평생을 푸른 시절같이 꿈이 많다면 노화도 방지하고 질병 회복을 촉진한다.

 

▶ Liv 1 대돈(大敦): 돈독(敦篤), 돈화(敦化)에 쓰이는 ‘돈’자에는 ‘힘쓰다, 감독하다, 세우다’의 뜻. 『천금요방』-오림부득뇨(五淋不得尿)에 기해와, 『침구자생경』-유뇨에 기문(箕門), 통리, 방광수, 태충, 위중, 신문과, 기면에 여태와, 『침구갑을경』-인사불성에 은백과, 『침구대성』에서 신창편추(腎脹偏墜)에 대돈(구칠장灸七壯), 관원(삼장三壯)과, 편추목신(偏墜木腎)에 귀래, 삼음교와, 『십사경요혈주치가』-오림(五淋)에 혈해와, 칠산(七疝)에 태충과, 『백증부』에서 한산(寒疝)에 조해와 배혈.

 

▶ Liv 2 행간(行間): 『천금요방』-익건희갈(嗌乾喜渴)과 간심통(肝心痛)에 태충과, 요통부가부앙(腰痛不可俯仰)에 위양, 은문, 태백, 음릉천과, 경통(驚痛), 광주간질(狂走癇疾)에 근축, 곡골, 음곡과, 족부임신(足不任身)에 천주와, 『침구자생경』-심통에 음극과, 다루(多淚)에 신정과, 『침구갑을경』-궐심통(厥心痛), 색창창여사상(色蒼蒼如死狀), 종일부득태식자(終日不得太息者), 간심통야(肝心痛也)에 태충과, 『백증부』-소갈지신갈(消渴之腎竭)에 용천과, 작목간기(雀目肝氣)에 정명과 배혈.

 

▶ Liv 3 태충(太衝): 『표유부』-한열비통(寒熱痹痛), 개사관이이지(開四關而已之)로 유명. 『천금요방』-허로부종(虛勞浮腫)에 태충(구백장灸百壯), 신수(구灸)와, 구열구건(口熱口乾), 구중란(口中爛)에 노궁, 소택, 삼간과, 『침구자생경』-음통(陰痛)에 신수, 지실, 경골과, 순종(脣腫)에 응창과, 루혈부지(漏血不止)에 교신, 음곡, 삼음교와, 대편난(大便難)에 중료, 석문, 승산, 중완, 태계, 대종, 승근과, 『침구집성』-적백대하에 곡골(구칠장灸七壯), 관원, 부류, 삼음교, 천추(구백장灸百壯)와 배혈.

또한 『침구대성』-당설(溏泄)에 신궐, 삼음교와, 오치(五痔)에 위중, 승산, 비양, 양보, 부류, 협계, 기해, 회음, 장강과, 변혈에 승산, 부류, 태백과, 소갈에 행간, 승장, 금진옥액, 인중, 염천, 곡지, 노궁, 상구, 연곡, 은백과, 루하부지(漏下不止)에 삼음교와, 난산에 (사瀉)태충, 삼음교, (보補)합곡과, 복만인요통(腹滿引腰痛)에 태백과, 『석홍부』-수련견척통난인(手連肩脊痛難忍)에 합곡과, 인후최급선(咽喉最急先)에 백회(선先), 조해, 삼음교(후後)와, 『잡병혈법가』-비새(鼻塞), 비치(鼻痔), 비연(鼻淵)에 합곡과, 설열출혈(舌裂出血)에 내관, 음교와 배혈.

 

▶ Liv 4 중봉(中封): 신봉(神封)이 있으므로 중봉(中封)도 있다. 『천금요방』-인편종(咽偏腫), 불가이인(不可以咽)에 전곡, 조해와, 『침구자생경』-요제통(繞臍痛)에 수분, 신궐과, 『침구대성』-제통(臍痛)에 곡천, 수분과, 『동인침구유혈도경』-고창(鼓脹)에 부류, 공손, 태백, 수분과, 『의종금감』-행보간난(行步艱難)에 족삼리(구灸)와, 행보간초(行步艱楚)에 『승옥가』-태충과, 『옥룡부』-태충, 족삼리와 배혈.

 

▶ Liv 5 려구(蠡溝): ‘나무가 좀 먹을 여’자로 려우(蠡牛), 려측(蠡測)에 쓴다. 『천금요방』-익중유기(嗌中有氣), 여식육상(如息肉狀)에 소부와, 『침구자생경』-소변불리(小便不利), 실정(失精)에 누곡, 중극, 승부, 지음과, 경계소기(驚悸少氣)에 신문, 거궐과 배혈.

 

▶ Liv 6 중도(中都): 고전에서 음릉천과 삼음교의 중간이라 했고 별명은 중극(中郄). 『침구갑을경』-퇴산(㿗疝)에 대거, 지기와, 『침구대성』-사지부종에 합곡, 곡지, 중저, 액문, 행간, 내정, 삼음교, 음릉천과 배혈했다.

 

▶ Liv 7 슬관(膝關): 『침구자생경』-슬내렴통인빈(膝內廉痛引臏), 불가굴신(不可屈伸)에 곡천과, 슬급슬하병(膝及膝下病)에 (구灸)독비, 족삼리, 양릉천과, 『침구대성』-양슬홍종동통(兩膝紅腫疼痛)에 위중, 족삼리, 음시와, 『옥룡가』에서 슬두홍종(膝頭紅腫), 불능행(不能行)에 슬안과 배혈.

 

▶ Liv 8 곡천(曲泉): 정혈동원의 샘이 막혔을 때 허즉보기모한다. 『천금요방』-당설(溏泄), 리주하혈(痢注下血)에 태충과, 두현통(頭眩痛)에서 곤륜, 비양, 전곡, 소택, 통리와, 『침구자생경』-음양(陰癢)에 음교와, 륭폐경중통(癃閉莖中痛)에 행간과, 실정(失精)에 지음, 중극과, 음정출(陰挺出)에 수천, 조해, 신맥과, 『침구대성』-몽유실정(夢遺失精)에 곡천(구백장), 중봉, 태충, 지음, 격수, 비수, 삼음교, 신수, 비수, 삼음교, 신수, 관원, 삼초수와, 음정출(陰挺出)에 조해, 대돈 혹은 조해, 태충, 소부와, 『석홍부』-칠산소복통(七疝小腹痛)에 조해, 삼음교와, 『주후가』-풍비위궐(風痹痿厥)에 대저와 배혈.

 

▶ Liv 9 음포(陰包): 음기와 여자포를 의미. 『침구자생경』-월경부조에 여구와 배혈.

 

▶ Liv 10 족오리(足五里): 수오리와 상응. 『천금요방』에서 기와(嗜臥), 사지불욕동요(四肢不慾動搖)에 삼양락, 천정, 여태, 삼간과, 신황(身黄), 시유미열(時有微熱)에 중봉과, 『침구자생경』-기와(嗜臥)에 태계, 대종, 조해, 이간과 배혈.

 

▶ Liv 11 음렴(陰廉): 염결(廉潔), 염치(廉恥), 염탐(廉探)에 쓰는 ‘염’자는 ‘곧다, 날카롭다, 모서리’의미. 『침구대성』-주부인절산(主婦人絕產), 약미경생산자(若未經生產者), 구삼장(灸三壯), 즉유자(即有子)로 유명.

 

▶ Liv 12 급맥(急脈): 『천금요방』에서 부인포하수주(婦人胞下垂注), 음하탈(陰下脫) 주치. 『유경도익』-차실궐음지정맥이회우양명자야(此實厥陰之正脈而會于陽明者也).

 

▶ Liv 13 장문(章門): 백작약같은 장문은 하귀간신(下歸肝腎)을, 적작약같은 기문은 상수심폐(上輸心肺) 주관. 『천금요방』-한중동설부화(寒中洞泄不化)에 신수와, 장명로창(腸鳴顱脹), 욕설주(慾泄注)에 삼초수, 소장수, 하료, 의사와, 구토에 중완, 격수와, 협통부득와(脅痛不得臥), 흉만(胸滿), 구무소출(嘔無所出)에 담수와, 대복석수(大腹石水)에 기충, 연곡, 사만과, 분돈상기(奔豚上氣)에 석문, 삼음교와, 『침구자생경』-불면에 기충과, 요척통부득전(腰脊痛不得轉)에 차료와, 『침구대성』-협륵동통(脇肋疼痛)에 지구, 외관과, 변비에 태백, 조해 혹은 태백, 조해, 지구와 배혈.

 

▶ Liv 14 기문(期門): 『표유부(標幽賦)』-태음위시(太陰為始), 지궐음이방종(至厥陰而方終); 혈출운문(穴出雲門), 저기문이최후(抵期門而最後). 『천금요방』-심통단기(心痛短氣)에 장강, 천돌, 협백, 중충과, 심절통(心切痛), 희희산(喜噫酸)에 불용과, 흉통에 폐수, 운문, 중부, 은백, 혼문, 대릉과, 흉중열(胸中熱), 식분(息賁), 협하기상(脇下氣上)에 결분과, 상기해역(上氣咳逆), 흉만단기(胸滿短氣), 견배통(牽背痛)에 (구灸)기문, 거궐(각오십장各五十壯)과, 협하창(脇下脹)에 관원, 소상과, 음식부하(飮食不下)에 양강, 소상, 노궁과, 『침구자생경』-산후선희(產後善噫)에 함곡과, 부인분돈(婦人奔豚)에 관원, 중극, 삼음교, 석문, 혈해와, 음도유소편난(陰跳遺小便難)에 대돈, 음곡, 위중, 위양과, 『침구대성』-상한흉협통(傷寒胸脇痛)에 대릉과, 천식부능행(喘息不能行)에 중완, 상렴과, 『백증부』-항강상한(項強傷寒)에 온유와 배혈.

김한직 교수(사우스베일로 애너하임)

 

 

<Copyrights ⓒ 메디컬 한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dvertisement -

More articles

- Advertisement -spot_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