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 C
Los Angeles
-8.8 C
New York
Tuesday, January 21, 2025

김영일 교수의 ⑪ 산후병증 및 부인잡병

△ 사진©shutterstock_JinYoung Lee

 

중경은 부녀자의 각종 복잡한 병증들의 주요원인을 ‘허(虚), 적랭(積冷), 결기(結氣)’라고 보았다.

여기서 ‘허’는 기혈음양부족(氣血陰陽不足)의 병리체질을 말한다. ‘적랭’은 허한(虚寒)을 의미하는데, ‘적’자는 바로 체내 한기가 일정시간 경과한 병리축적을 뜻한다.

‘결기’는 정지불수(情志不遂), 간실소설(肝失疏泄)로 인하여 기기울결(氣機鬱結)된 것이다. 만약 정기가 충만하면, 충분히 불량정지(不良情志)를 통제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보면, 간기울결(즉 氣結)은 허약한 병리체질 기초상에서 발생해 발전한다. 물론 다른 체질에서도 간울이 야기될 수 있지만, 상대적인 것을 뜻한다.

『금궤』 중에는 같은 산후복통이지만, 다른 체질에 따라 네 가지 상이한 증형(證型)이 나타난다. 먼저 이에 대해 살펴보겠다.

 

▲ 산후복통① 당귀생강양육탕증

내한협혈허(內寒挾血虚)의 이 처방은 소체내한(素體內寒)이 출산 후 혈허를 동반한 것이다. 양고기는 한체질을 조절하는 체질용약이고 당귀, 생강은 양혈산한(養血散寒)하여 증을 치료한다. 따라서 본방은 한산(寒疝) 복통의 주방이 되기도 한다

 

▲ 산후복통② 지실작약산증

소체 (肝) 혈허인 여성이 산후에 혈이 더욱 부족해져, 간기울체로 인해 발생한 통증이다. 방중에 작약(芍藥)은 간혈(肝血)을 길러서 혈맥을 통하게 하는 체질용약법이고, 실은 기의 울체증을 치료한다.

본방은 특히 사역산의 절반인데, 전자는 검게 태운 지실을 써 혈분(血分)으로도 들어가고 후자의 지실은 시호와 더불어 기분(氣分)으로만 들어간다.

때문에 지실작약산의 한성(寒性)은 혈분의 ‘옹농(癰膿)’을 치료하여 행어산결(行瘀散結)의 효용도 지닌다.

 

▲ 산후복통③ 하어혈탕증

어혈내조(瘀血内阻)의 본방은 원문에 따르면 건혈(乾血)이 자궁 내에 부착되어 있다. 복용에 대해 “복용 후,돼지간(猪肝)과 같은 신혈(新血)이 나온다”고 했다. 건혈 혹은 신혈은 바로 어혈로서 복통의 원인이 되며, 지실작약산증보다 한층더 진전된 상태다.

원문에는 또한 “주경수불리(主經水不利)”라 했는데, 평소 어혈의 병리체질 여성이 누하불지(漏下不止) 등 월경부조가 있는 것을 주치한다.

조성은 대황, 도인, 자충을 가루 내어 쓴다. 파혈성(破血性)이 강하므로 꿀과 섞어 환약으로 만든 후, 복용 시 술에 넣고 달여 마신다

 

▲ 산후복통④ 대승기탕

하초에 혈이 뭉치고 열이 양명에 모인 어열호결(瘀熱互結)의 처방이다.

산후 오로부진으로 소복견통(少腹堅痛)한 것은 바로 산후후유증이다. 여기에 또한 발열, 오후 3~5시 무렵 번조가 나고, 변비, 맥은 실하며, 음식이 들어가면 섬어(헛소리) 등이 나타나는 것은 양명부실증이며, 열체질이 진일보 발전한 것이다.

본방은 설열통변(泄熱通便)하여 양명실열을 내리면서 어열(瘀熱)을 대변으로 나오게 하는 일공양득(一攻两得)의 효과가 있다.

부방으로 내보당귀건중탕(内補當歸建中湯)이 있는데, 역시 산후 몸이 허하고 부실하면서 복중 자통(刺痛)이나, 소복(少腹) 경련통이 요배(腰背)까지 방사되는 것을 치료한다.

복용법은 “(출산 시) 만약 자궁출혈이 많았거나, (산후) 붕상(崩傷) 및 내출혈이 그치지 않을 때는 생지황, 아교를 가한다∙∙∙만약 당귀가 없으면 천궁으로 대신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가감법은 아마도 후세방 사물탕의 원형이 될 것이다.

허로병의 황기건중탕(黄芪建中湯) 역시 복중구급동통(腹中拘急疼痛)이 보인다.

두 처방은 모두 중초한체질을 조절하는 소건중탕의 응용이다. 소건중탕자체가 허로로 인해 생긴 복중구급통을 치료하는 대표방이다. 기허증은 황기, 혈허증은 당귀를 더하는데, 이는 바로 증(證)에 대한 변증용약이다.

요컨대 소건중탕은 출산 전후 혹은 임신유무를 막론하고, 병기가 같으면 여러 질병에 적용할 수 잇다. .

 

▲ 부인잡병① 매핵기

목안에 구운 고기덩어리가 있는 것처럼, 인후(咽喉)가 막히고 이물감이 드는 병이다.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내려가지 않으며, 홍종(紅腫)이나 통증도 없다. 설질은 대개 담(淡)하고, 백니태에 삽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그 병리기전은 칠정에 의한 간기울결로 담기가 응결되어 후롱 뒤에 막힌 것이다. 주의점은 후롱의 뒤는 바로 족궐음간경이 지나는 곳이다. 간기울결로 생긴 담(痰)이 간경을 따라 상역하여 후롱의 뒤에 정체된 것이다.

이렇게 보면 평소 담습체질은 상대적으로 쉽게 본 병을 얻는다. 대표방은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으로, 방안에 반하, 복령, 생강이 있으니 이진탕의 뜻이며 체질용약이다.

본병의 병기가 간울과 관련하므로 소간이기 약물을 더하는 것이 좋다. 이것도 체질에 따라 한체질에는 청피, 불수, 향부자 등을, 열체질엔 천련자(川楝子), 어혈체질은 연호색 등을 쓴다. 또한 본방은 온성에 치우치니, 만약 음허내열체질이라면 맥문동탕을 더할 수 있다.

요컨대 변병, 변증 및 체질논치를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방약을 가감한다.

 

▲ 부인잡병② 장조

본 병은 오장허손이 근본이다. ‘조(躁)’는 기혈쇠소(气血衰少)로 오장진기가 조급불안(躁急不安)케 된다는 뜻이다.

따라서 내인(內因)인 허가 우선이고, 정지(情志)에 관련한 제증(喜悲傷欲哭, 象如神靈所作) 및 언행실상(數欠伸)이 나타난다.

자주 슬퍼 울려는 것은 비(悲)와 관련한 폐기허다. 정신적으로 불안, 몽롱한 것은 심기허로 신명을 주관하지 못하거나, 간혈허로 혼(魂)이 불장(不藏)한 것이다.

이것을 “간고급(肝苦急), 급식감이완지(急食甘以緩之)”라 하여, 감약으로 간병을 다스리는 이치다. 자주 하품을 하는 것은 신기허와 관련한다. 본방의 복용법에 “역보비기(亦補脾氣)”라 하였으니 비기허도 내포한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장조병은 오장 기혈허약의 병리체질을 기초로 하여 발전한 정신질환임을 알수 있으며, 대표방은 감맥대조탕이다.

본방의 조성은 감초, 소맥, 대조다. 방이 아주 간단한 까닭에 치료제가 아닌 일종의 정신적인 안위제(安慰劑) 역할을 한다는 견해도 있다.

임상에서는 체질과 증후에 따라 관련방약을 합용한다. 예를 들면 기혈부족체질은 팔진탕, 귀비탕, 소요산, 대보음전(大補陰煎) 등을, 열체질은 백합지황탕, 생맥산, 육미지황환, 좌귀환 등을 선용한다.

한체질은 이중환, 금궤신기환, 우귀환 등을 선택해서 쓴다. 만약 담습을 겸하면 온담탕 등을 더하며, 어혈을 겸하면 혈부축어탕 등을 더한다.

울증(鬱證)을 겸하면 월국환(越鞠丸)을 합하고, 갱년기 종합증이 있으면 이선탕(二仙湯: 선모, 선령비, 황백, 지모, 파극천, 당귀)을 합한다.

김영일 교수(동국대 LA캠퍼스)

 

 

<Copyrights ⓒ 메디컬 한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dvertisement -

More articles

- Advertisement -spot_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