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c)AdobeStock_ALDECAstudio
턱부위의 관절에 이상이 생겨 통증과 기능 장애가 발생하는 턱관절 장애는 20대 여성에게서 특히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이 지난 2010~2015년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성별·연령대별 진료 현황이 20대(9만4000명, 26.9%)가 가장 많았고, 10대(6만명, 17.1%), 30대(5만6000명, 16.1%) 순이었으며 20대 여성이 5만5000명으로 같은 연령대 남성 3만8000명 보다 1.4배 많았다고 24일 밝혔다.
또 30대와 40대는 1.7배 등 9세 이하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여성 진료인원이 많았다.
전체 진료 환자는 2010년 25만명에서 2015년 35만명으로 40.5% 증가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1.5배정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진료비또힌 173억4000만원에서 303억2000만원으로 74.9%나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치과 김문기 교수는 “20대 여성 환자가 많은 것은 스트레스가 심한 데다 턱관절 이상 증상에 대해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여성호르몬이 턱관절 장애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턱관절은 머리뼈와 아래턱뼈 사이에 있는 관절이다. 입을 벌리거나 음식물을 씹을 때, 삼키거나 말할 때 아래턱을 움직이는 역할을 한다.
턱관절 장애는 턱관절 주변의 근육, 뼈 등에 이상이 생겨서 통증이나 기능 이상이 발생하는 질병이다. 심하면 입을 벌릴 때 ‘딱딱’ 소리가 나기도 한다.
발병 원인으로는 이갈이, 이 악물기, 한쪽으로만 음식을 씹는 습관, 손톱 깨물기, 혀 내밀기, 껌 오래 씹기, 과도하게 입 크게 벌리기 같은 생활 습관이 원인으로 꼽힌다.
스트레스, 불안감, 우울증 등 정신적인 요인도 주변 근육의 긴장을 심하게 해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요인이 미세한 외상을 일으키고 장기간 지속하면 턱관절 장애가 발생하는데, 특히 성장기에 장애 상태가 지속하면 관절 부위 뼈 모양이 변하거나 심한 경우 뼈가 덜 자라 얼굴이 비뚤어지는 안면 비대칭을 초래할 수도 있다.
김 교수는 “예방을 위해서는 잘못된 구강 습관을 행동요법 치료로 개선하고 스트레스를 줄여 저작근(씹는 근육)의 긴장을 완화해야 한다”며 “특히 성장기 때에는 통증이 심하지 않아 그냥 지나칠 수 있으므로 보호자의 관찰과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메디컬 한의 기사제휴지 e-헬스통신
김양순 기자
<Copyrights ⓒ 메디컬 한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