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4 C
Los Angeles
-6.1 C
New York
Monday, December 23, 2024

척추 아플 때 적당한 운동은?

사진(c)shutterstock_wavebreakmedia-ltd

척추는 우리 몸의 중심을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걷거나 뛰거나, 앉거나 서있거나, 구부리거나 펴거나 등 다양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며 몸의 균형을 잡아준다.

하지만 척추도 퇴행성 변화가 생기기 마련.

얼만큼 건강하게 오래 사용하느냐의 차이 일뿐, 결국 퇴행성 질환에 노출돼 있다.

척추의 가장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은 바로 ‘추간판 탈출증’과 ‘협착증’이다.
 
디스크라고 불리는 ‘추간판 탈출증’은 척추뼈 사이에서 쿠션처럼 충격을 흡수하는 디스크가 퇴행성 변화 또는 외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돌출되고 이것이 척추관을 지나는 신경에 압박을 주며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협착증’은 척추를 구성하고 있는 구조물들의 비후, 증식 등으로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이 비정상적으로 눌리게 되면서 신경을 자극해 염증과 통증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두 질환 모두 척추의 퇴행성 변화로 발생하지만 차이점이 있다.

디스크는 10대부터 퇴행이 시작돼 발생연력이 낮은 반면 협착증은 대부분 50대 이후에 많이 발생한다.

또한 발생 원리가 다른 만큼 증상 또한 다르다.

나누리서울병원 척추센터 공병준 원장은 “추간판 탈출증은 허리를 앞으로 굽히면 통증이 발생하고 허리와 다리가 함께 아프고 앉아 있을 때 통증이 심하고 서있거나 걸으면 통증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반면 협착증은 허리를 굽혀야 편하고 허리보다 다리, 엉치, 발쪽이 시리고 통증이 생긴다”며 “오래 걸으면 다리가 터질 듯 아프거나 힘이 빠져 쪼그려 앉아서 쉬면 편해진다”고 두질환의 증상 차이를 설명했다.

추간판 탈출증과 협착증은 증상에서 확연히 차이가 나는 만큼 운동법 또한 다르다.

추간판 탈출증을 앓고 있는 사람은 전신 유산소 운동인 ‘걷기’가 효과적이다.

걷기운동은 디스크에 적절한 자극을 줘 디스크 주변의 혈액 순환에 도움을 준다.

시선은 전방을 향하고 상체를 똑바로 세우고 하루 30분 정도 걷는 것이 좋다. 만약 걷는 도중 통증이 발생한다면 운동을 중단하고 점차적으로 운동시간을 늘려야 한다.

협착증 환자는 오래 걸을 수 없고 허리를 굽히는 것이 더 편하다는 질환의 특성상 걷기 운동보다는 ‘자전거’가 효과적이다.

허리를 약간 숙인 상태에서 자전거를 타게 되면 허리굴곡이 바깥쪽으로 나오게 돼 척추관(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이 넓어지고 요추를 지지하는 근육들이 발달되어 상대적으로 통증이 감소할 수 있다.
 
경미한 디스크질환이나 협착증 질환은 약물치료, 주사치료, 물리치료 등으로 호전이 가능하지만 증상이 심할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이때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바로 척추내시경술이다.

척추내시경술은 내시경으로 병변부위를 확대해 보면서 미세도구 또는 레이저 등으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공 원장은 “척추내시경술은 최소침습적 치료 방법으로 절개 부위가 적고 근육 및 뼈 손상이 없기 때문에 수술 후 일상 복귀가 빨라 직장인들에게 효과적”이라며 “또한 부분 마취로 진행되기 때문에 고령의 환자들도 수술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메디컬 한의 기사제휴지 e-헬스통신

강찬우 기자

 

 

 

<Copyrights ⓒ 메디컬 한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dvertisement -

More articles

- Advertisement -spot_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