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 C
Los Angeles
-6.6 C
New York
Saturday, December 21, 2024

다이어트 식이요법, 왕도 없다

사진(c)underdogstudios – Fotolia.com

비만은 적절한 관리를 통해 꾸준히 치료해야 하는 만성질환이다.

비만은 미용상의 문제일 뿐 아니라 다양한 만성질환을 유발하고 생명을 단축시키는 질병이다.

우리나라도 경제 성장에 따라 식생활과 생활방식이 서구화되면서 비만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고칼로리 식사, 동물성 지방 섭취, 운동부족으로 비만이 유발되고 정신적 스트레스로 과도한 칼로리를 섭취해 비만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비만율은 지난 2008년 21.6%에서 2014년 25.3%로 매년 상승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30대 이상 성인의 20~30%는 비만과 관련된 질환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 환자는 정상인보다 사망률이 28% 높으며 고혈압은 5.6배, 고지혈증은 2.1배, 당뇨병은 2.9배 높다.

또 비만 환자는 일반인보다 유방암과 대장암의 유병률이 1.1~1.6배 높다.

하지만 비만은 치료가 쉽지 않다.

개인이 쉽게 고치기 힘든 여러 가지 정신사회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기 때문이다.

최근 ‘과체중 및 비만 치료’라는 논문을 발표한 가천대 길병원 심장내과 신미승 교수는 “비만은 다양한 임상 경험과 실제적인 지식을 가진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치료에 성공할 확률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유럽의 선진국은 비만의 표준 진료지침을 개발해 적용하고 있다.

이중 OECD 국가 중 비만율이 가장 높은 미국은 적극적인 비만관리대책을 수립해 실행하고 있다.

1998년 미국국립보건원(NIH)이 비만관리지침을 처음 발표한 이후 지난 2013년 미국심장학회와 비만학회에서는 새로운 비만관리지침을 발표했다.

지침은 크게 5가지의 핵심 질문에 기반해 접근하고 있다.

질문은 △체중감량이 필요한 비만 환자의 선별 △체중감소로 인한 건강의 이득 △체중감소를 위한 식이요법 △생활양식 중재요법과 상담 △비만수술 등이다.

개정된 지침에 따르면 비만 환자이거나 과체중이면서 비만관련 질환을 한 가지 이상 가지고 있다면 적극적으로 체중을 감량해야 한다.

식이요법에 왕도는 없다는 점을 명심하고, 생활습관 중재요법(식사, 신체 활동, 행동요법)은 자주 받아야 한다.

비만 치료는 비만환자(체질량지수, BMI 30 Kg/m2 이상)뿐 아니라 과체중환자(BMI 25~29.9 Kg/m2)도 비만 관련 질환을 1가지 이상 가지고 있다면 시도해야 한다.

과거에는 과체중 환자가 비만관련 질환을 2개 이상 가지고 있을 때 치료대상으로 보았다.

체중감량에 따라 건강상 이득을 얻을 수 있는 환자군이 확대된 것이다.

비만관련 질환은 고혈압, 포도당 불내성/제2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수면 무호흡증, 비알콜성 지방간이다.

3~5% 정도의 체중감량을 잘 유지하면 중성지방, 혈당, 당화혈색소 수치 및 제2형 당뇨병의 발생 위험이 감소한다.
의료진은 비만환자나 위험인자를 한 가지 이상 가진 과체중환자에게 체중감량을 권고할 수 있다.

체중감소를 위한 식이요법에는 왕도가 없다는 점을 숙지해야 한다.

새 지침 개발위원들은 수많은 체중감량 식이방법을 검토했으나 특별히 우월한 식이요법을 찾을 수 없었다.

올바른 식이요법은 저열량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다.

시중의 다양한 다이어트 식품에 현혹되지 말 것을 시사한다.

생활습관 중재요법은 더욱 자주 받아야 한다.

전문가의 중재요법을 6개월에 14회 이상, 1년 이상 받으면 비용 이상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인터넷이나 전화 상담은 대면 상담에 비해 효과가 떨어진다.

BMI 40이상이거나 35이상이면서 관련 질환을 가졌다면 외과적 수술이 필요하다.

이때 반드시 안정성과 유효성이 확립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신 교수는 “새로운 비만관리 지침은 비만과 과체중을 치료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를 감소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며 “다만 우리나라 의료 현실상 생활습관 중재요법을 그대로 따르는 데는 무리가 있고 비만기준도 서양인보다 낮게 BMI 25 Kg/m2 이상으로 정의돼 있기에 전문가의 조언을 통해 적합한 방법을 선택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메디컬 한의 기사제휴지 e-헬스통신

강찬우 기자

 

 

<Copyrights ⓒ 메디컬 한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dvertisement -

More articles

- Advertisement -spot_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