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FDA에서 발표한 최근 보고에 따르면, 애보트의 코로나19 즉석 검사 결과가 부정확하게 나올 수 있다고 한다. 이에 따르면 애보트의 아이디 나우 코로나19 검사에 관해 위음성 결과 15건이 보고됬으며, 이는 검사 결과의 신뢰성에 큰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또한 FDA는 아이디 나우를 계속 써도 되지만 음성 결과는 별도의 분자 검사를 통해 재확인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또한 FDA는 위음성 결과가 채취 면봉이나 용기의 문제인지 아니면 기계 자체의 문제인지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자체의 문제로 밝혀질...
한국에서는 코로나19 확진 환자가 콜센터에서 집단으로 발생한 것과 관련해 공기청정기 설치가 실질적으로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공기 중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에에 대한 연구 결과가 발표됬다. 공기청정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노동자의 비말이 제대로 정화되지 않고 오히려 확산만 시키는 다는 것이 연구의 중점 발표이다.
많은 곳에서 공기 청정기 사용시 상세한 가이드라인 없이 사용되기 때문에 공기청정기가 책상 위가 아닌 바닥에 설치될 경우...
미국에서 현재 코로나19 치료제로 시험되고 있는 약들이 모두 다 사용 권고하기엔 근거가 부족하다는 국립보건연구소(NIH) 패널의 가이드라인 초안이 나왔다. 단, 이는 향후 새로운 임상시험 결과가 나오면 업데이트될 예정으로 변경 가능성이 있다.
이번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임상시험 외에 코로나19 환자에 항말라리아제 히드록시클로로퀸과 항생제 아지스로마이신 이용은 독성 가능성을 이유로 반대가, 아울러 칼레트라나 다른 HIV 프로타제 억제제도 부정적 약역학 및 임상시험 데이터로 반대표를 받았다. 또한 길리어드의 항바이러스제 렘데시비르(remdesivir)도 이용을 찬성하거나 반대하기에는 근거가 불충분 하여 사용이 어렵다는 판정을 받았다.
아울러 회복기 혈장이나 과면역 면역글로불린과 IL-6 억제제 케브자라(Kevzara, sarilumab), 악템라, 사일반트(Sylvant, siltuximab) 및 IL-1 억제제 키너레트(Kineret, anakinra) 역시 마찬가지다. 특히 인터페론은 사스나 메르스 치료 시 독성 및 효과 부족으로 인해 임상시험 외에는 이용이 반대됐다. 또 올루미언트 등 JAK 억제제 마찬가지로 폭넓은 면역억제 효과로 코로나 치료에 부적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