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 C
Los Angeles
-11.2 C
New York
Wednesday, January 22, 2025

김영일 교수의 『상한론』 ③ 태양병(太陽病)의 변증논치와 경락

△ 태양병은 영기와 위기의 협조여부에 따라 나타난다. 사진©shutterstock_JinYoung Lee

 

三陽의 開關을 영위 통섭, 외사 방어벽으로 경맥 울타리 되는 ‘태양’ 

태양병은 위양(衛陽) 개방(開放)과 관폐(關閉)∙영기와 위기간의 협조 문제

 

표에 위치하는 태양은 삼양(三陽)의 개관(開關; 열고 닫는 것)으로 영위를 통섭하고 외사에 대한 방어벽으로 모든 경맥의 번리(藩篱; 울타리)가 된다. ‘개(關)’의 작용은 체표를 호위하는 위기(衛氣)의 고섭 및 방어작용과 밀접하다. 특히 위기가 피모와 주리(腠理: 인체의 막과 간극)를 열고 닫는 개합(開闔)작용과 상관한다.

태양의 표에서 ‘개’ 공능은 양기를 부포(敷布)해 외부를 보위하는데, 이를 ‘위외(衛外)’작용이라 부른다. 태양병은 바로 위양(衛陽)의 개방(開放)과 관폐(關閉) 문제로, 여기서 발생하는 영기와 위기간의 협조여부 문제다.

 

▲ 위기의 역할 및 근원

정상 상황하에서 위기는 맥 밖에서 운행돼 분육(分肉; 여러 갈래의 근육)을 온양(溫養)하고 피부를 충성(充盛)하며 주리를 양육(養育), 그 개합을 조절한다. 영기는 맥 중에서 운행돼 내로는 오장육부를 공양하고 외로는 사지백해(四肢百骸)나 주리를 유양한다.

『영추』의 영위생회편(營衛生會篇), 위기행편(衛氣行篇) 등에서 위기는 족태양방광경 정명혈에서 시작해 주간에 수족삼양경(태양→소양→양명) 및 양교맥 밖을 따라 순행한다. 야간에 족소음신경을 거쳐 자시 무렵 신(腎)으로 들어간 후 가장 먼저 심(心)과 연계하며 심심상교가 이뤄진다. 

밤에 신(腎)→심(心)→폐(肺)→간(肝)→비(脾) 순서로 주행한 후, 다음날 아침(여명 무렵) 다시 족소음신경으로 나와 음교맥을 통해 목내자(目内眥) 정명혈부위로 돌아와 수족태양경 및 양교맥과 서로 교회한다. 위기가 리(裏)의 오장에서 먼저 표(表)의 태양경으로 나가기 때문에 ‘태양주외(太陽主外)’ 작용이 생긴다. 여기서 외(外)는 위기로 이해할 수 있다.

위기의 근원은 중초의 수곡정미에서 생성되지만, 제대로 작용하려면 신의 도움이 필수적이다. 신의 원기는 음양교맥을 통해 위기의 승강출입과정 중에서 추기(樞機)작용을 일으킨다. 야간에 위기가 음분으로 들 때나 여명 시 음분에서 양분으로 나갈 때, 모두 족소음신경을 매개로 해서 위기출입에 대해 지도리(樞)역할을 한다. 족소음신은 음양을 조절하며 신, 방광, 뇌 및 독맥과 연계하고, 위기와도 밀접하다. 위기는 하초에서 나와 중초의 물질공급을 받아 상초(폐)와 방광경을 통해 체표로 선발된다.

 

▲ 영기의 운행

영기(營氣)도 수곡정미에서 생성되므로 그 운행은 중초에서 처음 시작한다. 중초에서 상행해 폐로 들어가고, 수태음폐경으로부터 족궐음간경까지 12경맥과 독맥 및 임맥을 지나, 결분부(缺盆部)에서 다시 수태음 폐로 되돌아온다. 때문에 ‘태음주내(太陰主内)’ 작용이 생기며, 내(內)는 영기를 가리킨다.

수태음폐경 시작은 폐가 아니라 중초다. 중초는 위에 있고, 위의 중완부는 부숙(腐熟)을 통해 수곡정미를 폐로 상주한다. 폐는 영, 위기를 전신에 운행, 12경맥이 폐경부터 시작한다. -『십이경혈병후촬요(十二經穴病候撮要)』

『영추』 영위생회(營衛生會)에서 상초는 위상구(胃上口; 위의 상완부)에서 나온다고 했다. 명대 장경악은 상초는 폐가 거처하는 곳이자 종기가 모이는 흉중”이라며 “종기는 위의 수곡정기가 변한 것으로 흉중에 포산되므로 상초의 기는 위상구에서 나온다”고 주석했다.

중초로부터 생화하는 수곡정기는 토기로, 폐로 상주돼 자연계 천기와 결합한다. 12경맥이 폐경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은 폐가 바로 천기를 호흡하는 곳이어서다. 또한 수곡정기는 자연계 청기(淸氣)와 결합해 종기를 만들어 흉중에 모인다. 영기는 종기 추동력으로 맥중에서 주야로 전신을 일주하며, 인시 무렵 수태음폐경 촌구(요동맥부위)에 이르러 위기와 만난다. 영기가 중초에서 생성되지만, 전신에 운행되는 것은 역시 상초(폐, 흉중)부터다. 따라서 영기 유주는 12경맥 유주와 일치한다.

“곡식이 처음 위로 들어가 정미 되어 먼저 상하로 나눠진다. 위의 상완부(분문)인 상초와 위의 중완부인 중초로 각각 나뉘어 오장을 관개하고 두 길로 갈라진다.” – 『영추』 오미(五味)

양행(兩行)에 대해 명대 장경악은 “유화(柔和)는 영분(營分)으로 들어가고 영기는 맥중에서 흐른다. 강한(剛悍)한 것은 위분(衛分)으로 나가고 위기는 맥 밖을 행한다”고 주석했다. 문중에서 ‘두 길’은 바로 영위의 기가 운행되는 두 통로다.

이는 주향(走向)이 서로 다르지만 반드시 상호 협조해야 비로소 대회(大會)가 보증될 수 있다. 영위의 유주와 분포는 기화 통로인 경락과 기화의 장(場)인 육경 간의 조화 속에서 완성된다. 영위의 공용 또한 육경의 개합추작용에 따라 운동, 변화한다.

 

▲ 마황탕증∙계지탕증

마황탕증과 계지탕증은 모두 영위실조(營衛失調) 병증이다. 전자는 위강영울(衛强營鬱)의 태양상한증, 후자는 위강영약(衛强營弱)의 태양중풍증이다. ‘위강’이란 외사에 대항하기 위해 위기가 상대적으로 항진된 발열상태로, 영기는 사기로 인해 울체되거나(태양상한의 무한), 누설(태양중풍의 유한) 된다. 이는 매우 중요하다. 두 탕증을 외감으로만 이해하는 것은 치료의 말(末)이며 가감을 통해 각종 내상잡병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마황탕증은 사가 피표(皮表)에 막힌 소치로 오풍한, 신열, 무한, 두통, 신동(身疼), 요통, 골절동통, 해천(咳喘),脉浮緊(맥부긴) 등이 나타난다. 피모는 폐의 합(肺之合)이 되는 체표부위이므로 치료는 발표(發表)에 이폐(利肺)를 겸해서모공을 개방하니 마황탕을 쓴다.

계지탕증은 본래 해기(解肌; 기표肌表의 사)를 해제(解除)하는 방이다. 마황탕증이 전적으로 피표의 사를 발산하는 것과 확실히 다르다. 계지탕 방의(方義)는 장부 중 주로 비와 간에서 착수하고, 기혈조양(氣血調養) 및 영위조화(營衛調和)한다. 사기와 위기가 기육(肌肉)에 모여 다투는 형국이라 위기가 위외 공능을 잃고 피모를 고섭할 수 없어 땀(자한)이 나온다. 이를 “기주(肌腠)가 실하면 피표는 허하다”고 한다. 기육은 비의 합이 되는 체표부위여서 치료는 해기서근(解肌舒筋)에 화비(和脾)를 겸한 계지탕을 쓴다.

김영일 교수(동국대 LA)

 

 

<Copyrights ⓒ 메디컬 한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dvertisement -

More articles

- Advertisement -spot_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