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 C
Los Angeles
-11.2 C
New York
Wednesday, January 22, 2025

보중익기탕의 임상학적 고찰(3)

△보중익기탕은 단순 영양불균형 치료 뿐 아니라 내상발열을 제거하기 위함도 있다. 사진③shutterstock_Sofiaworld

 

보중익기탕 창제의 초기 이론은 내상발열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이 동원 선생은 현재의 진단 개념과는 다른 음화, 곧 내상에 의한 여러 질병에서 나타나는 열증을 총칭하는 개념을 제시했다.

선생은 음화를 복화(伏火), 심의 화, 습열 등 크게 세 종류로 나누었는데, 모든 경우에 보중익기탕을 사용할 수 있다.

복화(울열)는 양기가 상승하지 못하고 혈맥에 남아 열을 내는 것이다.

심화는 현대 한의학의 심기능 항진이 아닌 ‘비기하함’으로 하초의 기가 상승되는 군화, 상화를 의미한다. 신의 기능 항진으로 파악되며, 부신피질의 알데스테론과 부신수질의 카테콜아민의 항진으로 이해된다.

습이 열을 발생하는 습열 상태에서는 조중익기탕(보중익기탕의 백출을 창출로 당귀를 목향을 바꾼 방제)이 적용되어 비정상적 체액의 정체를 개선하는 목표로 사용했다.

 

▲감온제열법

감온제열(甘溫除熱)은 ‘달고 따뜻한 약으로 열을 내린다’는 의미다. 이동원 선생은 달고 따뜻한 약(甘溫)인 자감초가 열을 내린다고 봤다. 이를 확대 해석하면 감온약인 황기, 인삼, 자감초로 체내의 열이 제거된다는 얘기다. 즉 내상발열(기허발열)을 목표로 한 것이다.

근거는 선생이 <상한론>의 소건중탕이 외감병에 의해 발생된 내열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 처방의 원리에 영감되어 내상병인 내열 치료에 응용한 것이다.

소건중탕은 외감병인상한을 잘못 치료하여 기혈이 소모되고 부족하여 동계가 발생된 증상이다.  또한 <금궤요략>에도 소건중탕이 나오는데, 이는 도한이 있는 신음허증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음허증으로 악화되기 전의 기허발열 단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는데, 선생은 이 단계에 착안한 것으로 보인다.

<상한론>에서 계지는 소화기계의 기능을 개선하고, 작약은 보혈하며, 이당은 소화기계를 따뜻하게 하여 소화기능을 돕는다.

소건중탕은 외감병으로 인한 음허열에 대하여 감온약의 보기약을 이용하여 영위를 조화시킨다는 의미다. 이동원 선생은 소건중탕의 이론에서 외감병에 의한 발열이 아니라 허증으로 인한 기능 항진으로, 주로 체온조절 기능인 순수 내상 발열에 응용하여 보중익기탕을 창제한 것이다. 그런데 감온제열은 기허발열을 조절한다는 의미이지, 실열이나 허열을 제거한다는 뜻이 아니므로 음허열의 전 단계인 음화로 설명됐다.

 

▲감한제열법

감온제열과 반대개념으로 ‘달고 찬 약으로 열을 내린다(甘寒以瀉其火)’는 이론이다. <내외상변혹론>에는 이에 입각해 황백을 배합했는데, 내상발열인 음화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관점이 달라진다.

먼저 음화를 습열로 보는 것은 남경 중의대의 관점이다. 남경대 학파는 음화를 습열로 보아 황백을 가하여 사용한다. 이 이론은 <비위론>에서 언급된 감한을 감온약과 고한약, 곧 자감초와 황백으로 보았다.

이는 <내외상변혹론>에 황백이 사용되었기 때문으로, 그 창방의 원리를 설명하는 입방본지(立方本指)에서는 가감법으로 부신의 기능 항진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황백을 첨가하고 있다.

다음은 음화를 심화로 보는 북경 중의대 학파의 이론이 있다. 북경대 학파는 보중익기탕을 사용할 때 생감초를 첨가한다. 이는 자감초와 생감초를 병용하는 것인데, 고한을 감한약으로 이해하기 때문에 황백을 사용하지 않고 생감초를 사용한다.

 

▲황백 사용에 유의점

이동원 선생이 <내외상변혹론>에 황백을 사용한 것은 수화기제에 이론적 바탕을 둔 것으로 추론된다.

심화(내상발열=기허발열)를 군화, 상화로 보아 신의 화(부신피질, 수질 항진)가 발생되어 심화(내상발열)를 억제하지 못한 것으로 본 것이다. 그러므로 신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황백을 사용한 것이다.

보중익기탕증은 소화 기능이 오래 동안 약화되어 영양섭취가 어렵고, 특히 내장평활근에 영양이 공급되지 않아 긴장이 이완된 중증 상태다.

이 경우, 실열에 사용하는 황백은 이미 만성 설사 증상이 배태된 환자의 대장 점액의 누실이 더 심하게 발생하게 만들 수 있다. 악화되면 대변실금이 나타나므로 극히 경계해야 한다. <비위론>에 황백이 가감되지 않고 현재의 구성 성분이 된 것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신의 화가 상승되는 증상을 억제하기 위해 감한약을 생감초가 아닌 자감초로 쓴 것은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고려한 방제이며 건강한 자의 실열에 대한 황백의 약능을 이해한 것이다.

생강, 대조, 감초 등의 배합엔 여러 주장이 있지만,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조와 감초가 근육 긴장을 완화시키나 주약에 비해 소량이고 본방의 입방 원리를 손상시킬 우려가 적다. 또한 대조와 생강을 동시에 사용하면 식욕이 늘고 소화가 좋아지므로 보중익기탕의 방제 원리에 더욱 적합하다.

 

▲내상발열 제거가 목표

보중익기탕의 기전은 부적당한 음식 습관, 과식, 육체적 피로, 만성 소모성 질환 등으로 위무력증이 발생되고 그 결과 소화흡수 불량증이 발현되었다. 

영양불량 상태는 내장평활근에 영양이 공급(淸陽不昇)되지 못하여 내장평활근 무력증이 나타나고, 결국 장기의 하수 증상인 위하수, 자궁하수, 대장하수 등이 생긴다. 보중익기탕은 이 증상에 적용한다.

그런데 이동원 선생은 영양불량 상태에서 나타나는 내상발열 제거를 목표로 했다. 내장평활근 하수에 대한 기전을 이해하는 것은 임상에서 방제를 처방하는데 감별이 정확하게 이루질 수 있도록 한다. 더구나 이 방제의 창제 원리를 이해하면, 교과서에서 설명되지 않는 중기하함의 기전이 명확해지며 새로운 방제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벤스키(Bensky)는 물론 근원인 중국 책에서조차 없는 보중익기탕증의 기전을 다른 비기허증에 대한 처방과 함께 현대 의학적 기전을 명확히 밝혀 나가야 한다. 이는 미국 한의사가 앞으로 천착해야 할 과제다.

주세종 교수(사우스베일로 한의대)

 

<Copyrights ⓒ 메디컬 한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dvertisement -

More articles

- Advertisement -spot_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