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4 C
Los Angeles
9 C
New York
Thursday, April 25, 2024

김한직 교수의 361혈 궁리 ⑮ 족소음신경의 경혈 의미와 임상 응용Ⅱ

이번 호에서는 지난 호에 이어 족소음신경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족소음신경은 방광경과 표리하고 심경과 교제하며 충맥의 표(標)이므로 화생토하는 것이 임상 요점이다.

 

▲ K 11 횡골(橫骨)

횡골부터 유문까지 충맥과 연락한다. 복부 1선은 화생토, 복부 2선은 행기활혈, 강탁승청, 복부 3선은 토생금한다. 『석홍부』에서 기체, 요통불립에 대도와, 『백증부』에서 사오림지구적(瀉五淋之久積)에 황유와 배혈했다.

 

▲ K 12 대혁(大赫)

불이 이글이글할 ‘혁’자는 ‘화’자와 ‘토’자를 합친 회의문자인 붉을 ‘적’자가 모인 것이므로 화생토에 매우 좋다. 『침구자생경』에서 정일상축(精溢上縮)에 연곡과 배혈했다.

 

▲ K 13 기혈(氣穴)

원기가 소통하는 혈로 『침구갑을경』에서 포문(胞門), 자호(子戶)라 불렀다. 『순경고혈편(循經考穴編)』에서 부인자궁구랭(婦人子宮久冷), 불능성잉(不能成孕), 적백림력(赤白淋瀝), 월사부조(月事不調)에 사용했다.

 

▲ K 14 사만(四滿)

제하(臍下) 사방이 창만할 때 요혈인데, 상복석수에 『침구자생경』에서 연곡과, 『천금요방』에선 기충, 장문을 더해 자구했다. 『침구자생경』에서 자장유악혈(子藏有惡血), 내역만통(內逆滿痛)에 석관과 배혈했다.

 

▲ K 15 중주(中注)

중초에 물을 대고 주의(注意)에서 보듯 심유소억(心有所憶), 위지의(謂之意)와 의지소존(意之所存), 위지지(謂之志)의 원활한 소통을 돕는다. 『천금요방』에서 소복열(小腹熱), 대편견(大便堅)에 부극과 배혈했다.

 

▲ K 16 황유(肓兪)

사황혈(四肓穴) 중 전면에 있는 황유는 신궐을 도와 심소장화에 좋아 건중건비(建中健脾)한다. 『침구갑을경』에서 심하대견(心下大堅)에 기문, 중완과 배혈했고, 대장한중(大腸寒中), 대편건(大便乾), 복중절통(腹中切痛)에 사용했다. 또한 『천금요방』에서 대복한산(大腹寒疝)에, 『침구취영』에서 복만향향연부편(腹滿響響然不便), 심하유한(心下有寒), 목적통종내자시(目赤痛從內眥始)에 사용했다.

 

▲ K 17 상곡(商曲)

상은 오행상 금이므로 대장 질환에 좋다. 『순경고혈편』에서 대편혹사혹폐(大便或瀉或閉), 시시절통(時時切痛)에 사용했다.

 

▲ K 18 석관(石關)

삼초의 원기는 석문을 나와 석관에서 중초를 화생토한다. 『침구자생경』에서 배변곤란에 대종과, 복통을 겸하면 방광수와, 『백증부』에서 불임에 음교와 배혈했다.

 

▲ K 19 음도(陰都)

중완을 돕는다. 음이 모이고 성하는 곳으로 비습에 좋고 통관(通關), 식궁(食宮)으로도 부른다. 『침구자생경』에서 학신열(瘧身熱)에 소해(少海), 상양, 삼간, 중저와, 심중번만(心中煩滿)에 거궐과 배혈했다.

 

▲ K 20 복통곡(腹通谷)

육부의 강탁이 시작된다. 『천금요방』에서 비연청체에 합곡, 풍문, 신정, 찬죽, 영향, 지음과 배혈했다.

 

▲ K 21 유문(幽門)

유심유현(幽深幽玄)한 정신 세계와 유계(저승)나 유령(귀신)의 사후 세계와 관련 있는 정(精; 수생목)이 신(神; 목생화)으로 변화하는 충맥의 종혈이다. 당연히 임상에선 간심의 자상을 조심한다.

『천금요방』에서 구토에 상구, 족통곡과, 『백증부』에서 번심구토(煩心嘔吐)에 옥당과, 『침구자생경』에서 건망에 신도, 열결, 고황수와, 복통부기식(腹痛不嗜食)에 지기, 음릉천, 수분, 소장수와 배혈했다.

 

▲ K 22 보랑(步廊)

보랑이 사랑채라면, 신봉은 안채다. 『침구자생경』에서 소기(少气)에 소부, 방광수, 소충, 행간, 대종과, 격상부통(膈上不通), 호흡소기(呼吸少氣), 천식(喘息)에 음도와, 『신침구학』에서 유옹에 천계, 유근, 간수, 극천, 천천, 고황, 신당, 견정(肩井), 단중, 대릉, 소택, 위중, 족삼리와 배혈했다. 보랑부터 유부는 해역(咳逆), 천불득식(喘不得息)에 다용한다. 특히 보랑은 천식부득거비(喘息不得舉臂)에 좋다.

 

▲ K 23 신봉(神封)

『침구자생경』에서 유옹, 오한발열, 단기, 불면조동에 응창과 배혈했다.

 

▲ K 24 영허(靈墟)

영감이 발생하는 신령, 심령, 혼백이 숨을 쉬는 빈터다. 『천금요방』에서 구토흉만에 유부, 신장, 거궐과, 흉협주만(胸脇柱滿)에 화개, 자궁(紫宮), 중정, 신장, 위수, 협계, 보랑, 상양, 상렴, 삼리, 기호, 주영, 상관, 노궁, 용천, 양릉천과 배혈했다.

 

▲ K 25 신장(神藏)

『침구자생경』에서 해역(咳逆), 천불득식(喘不得息)에 운문, 인영과, 『백증부』에서 흉만항강(胸滿項强)에 선기와, 『침구십사경혈치료결』에서 협늑통에 기문(期門), 대저, 풍문, 보랑, 태연, 척택, 양릉천, 간수, 격수와 배혈했다.

 

▲ K 26 욱중(彧中)

빛나고 무성할 ‘욱’자로 중초의 기운을 알 수 있다. 『침구자생경』에서 해역상기, 연출다타(涎出多唾), 심계, 좌불안석에 운문 혹은 석문과 배혈했다. 또한 『아과(兒科)침구치료경험집』에서 풍담해수에 대추, 폐수, 천돌, 고황, 중부, 척택, 합곡, 태충, 용천과, 효천에 천돌, 유부, 중부, 고황, 중완, 기해, 풍문, 폐수, 태연, 어제, 삼음교, 조해와 배혈했다.

 

▲ K 27 유부(兪府)

유자는 연(然), 공(恭), 유(愈), 수(輸), 부자(傅子)는 부고(府庫), 도읍(都邑), 장자(腸子)란 뜻이 있어 신경의 맥기가 이곳까지 수승한다. 『침구자생경』에서 상기천(上氣喘), 부득식(不得息)에 신장, 천부와, 『옥룡부』에서 해수담천에 유근과, 『간이침구요법』에서 흉통에 단중, 기문, 장문과 배혈했다.

또한 『신구경론』에서 해수에 단전(관원), 단중, 신주, 열결, 천돌, 화개, 유근, 풍문, 폐수, 지양과, 천금요방에서 흉만에 곡지, 인영, 신도, 장문, 중부, 림읍, 천지, 선기와 배혈했다.

김한직 교수(사우스베일로 애너하임)

 

 

<Copyrights ⓒ 메디컬 한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dvertisement -

More articles

- Advertisement -spot_img